데이지: 봄의 화려한 메시지
소개: 데이지, 한국의 봄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아름다운 꽃 중 하나입니다. 그 특유의 밝고 화사한 빛깔은 봄의 시작을 알리며, 과거에는 부드러운 잎을 먹기도 하고 쥐오줌풀과 함께 먹기도 했습니다. 요즘에는 다양한 식물과 함께 조리하여 먹거나, 주로 꽃이 피기 전의 개화되지 않은 꽃, 봉오리, 그리고 꽃잎을 주로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식용과 활용: 데이지는 꽃잎과 씨를 샐러드나 수프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샌드위치, 쌈, 음료수 등 다양한 음식과 어울리며 상추와의 조합은 특히 맛있습니다. 꽃잎은 단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이 특징이며, 식초에 넣어 보관된 씨는 케이퍼 대용으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데이지 차: 데이지 차는 연한 갈색의 차색을 가지고 있으며, 맛은 순하고 열에 안정적이어서 붉은 빛의 꽃..
더보기
단델리온: 건강을 위한 자연의 보화
소개: 단델리온, 또 약포공영이나 약민들레로 불리는 이 풀은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 각지에서 산야, 도심의 가로화단, 길가 언덕, 집 근처의 밭둑에서부터 높은 산까지 아무 곳에서나 우아하게 자라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높이는 대략 25cm 정도로 작아보이지만, 그 특유의 노란 꽃이 돋아나면 활짝 피어나 눈에 띄게 아름답게 자리합니다. 특징: 꽃이 피면 민들레와의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 민들레는 꽃받침이 꽃송이 밑에 찰싹 달라붙어 받치고 있는 반면, 단델리온은 바깥쪽 꽃받침이 밑으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용 방법 및 활용: 단델리온은 관상용, 밀원용으로 활용되며 어린 잎은 식재료로 사용됩니다. 한방에서는 완하제, 강장제, 건위제 등으로 약용되어왔습니다. 또한, 단델리온의 잎, 줄기, 뿌리에..
더보기
바질, 향과 맛의 예술가
소개: 바질은 열대 아시아 원산지로 기원하며, 강렬한 향기와 특유의 맛으로 귀하게 여겨지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높이는 20∼70cm 정도로 작지만, 그 고유한 맛과 향기는 다양한 요리와 음료에 사용되며, 의학적 효능으로도 손꼽힙니다. 특징: 바질의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나 있습니다. 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여름에는 이삭 형태로 달리는 흰색 꽃이 돋아나며, 특유의 향기를 뿜어냅니다. 이용 부위 및 방법: 바질은 잎이나 줄기가 건조되어 향신료로 사용되며, 방향유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에 활용됩니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와 이식하기 용이하며, 파종 후 6월에 이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건강 효과: 바질은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
더보기
도고로마: 건강을 지키는 자연의 선물
소개 도고로마는 봄 또는 가을에 수확되는데, 뿌리줄기를 주로 약재로 사용합니다. 잔뿌리를 수확한 후 햇볕에 말려 사용하기 전에 잘게 다진다. 사용부위 뿌리줄기를 주로 약재로 활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봄 또는 가을에 굴취하여 잔뿌리를 따서 햇볕에 말리며, 쓰기 전에는 잘게 다집니다. 성분 뿌리줄기에는 디오신(Diosin), 디오스게닌(Diosgenin), 요노게닌(Yonogenin), 토코로게닌(Tokorogenin), 코가게닌(Kogagenin) 등의 배당체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약효 강장, 이뇨, 거풍(祛風), 소염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허리와 무릎의 통증, 류머티스, 야뇨증,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등에 효과적입니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5..
더보기
금불초: 자연의 힘으로 건강 챙기기
소개 금불초는 꽃이 주로 약재로 사용되며, 가는잎금불초와 버들잎금불초의 꽃도 함께 활용됩니다. 특히 꽃이 한창 필 때에 수확하여 그늘에서 말린 후 쓰거나 살짝 볶아 사용합니다. 사용부위 꽃은 주로 약재로 활용되며, 가는잎금불초와 버들잎금불초의 꽃도 함께 사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꽃이 풍부하게 필 때에 수확하고, 그늘에서 말리며 그대로 사용하거나 살짝 볶아 사용합니다. 성분 고미질배당체(苦味質配糖體)가 함유되어 있으며, 성분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약효 진해, 거담, 건위, 진토, 이뇨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흥분을 가라앉혀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침, 천식, 소화불량, 트림이 심한 증세, 딸꾹질, 속이 결리는 증세, 액체나 가스가 차서 배가 부르는 증세 등에 효과적입니다. 용법 말린..
더보기
금란초: 자연의 건강 지킴이
소개 금란초는 잎, 줄기, 꽃, 뿌리의 전체를 약재로 활용하는 다용도 식물입니다. 꽃이 필 때에 채취하고 햇볕에 말려 쓰기 전에 잘게 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부위 잎, 줄기, 꽃, 뿌리의 전체를 약재로 활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고,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써서 사용합니다. 성분 휘발성의 기름(Eerulasaure)이 함유되어 있다는 이외에는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약효 진해, 거담, 해열, 소종 등의 효능이 있으며 뜨거운 피를 식혀주는 작용도 한다고 합니다. 적용질환으로는 기침, 천식, 기관지염, 인후염, 장출혈, 코피, 각혈, 유선염, 중이염, 종기, 땀구멍으로 화농균이 침입하여 생기는 부스럼, 코 속의 종기 등이 포함됩니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3~6g..
더보기
광대수염: 자연의 건강과 즐거운 삶 모두
소개 광대수염은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활용하는 식물입니다. 꽃이 필 때에 수확하고, 그늘에서 말려 쓰기 전에 잘게 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때로는 생풀을 쓰기도 한다고 합니다. 사용부위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활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리고, 쓰기 전에 잘게 써서 사용합니다. 때로는 생풀을 쓰기도 합니다. 성분 점액질인 슐레임(Schleim)과 타닌, 염기인 라민(Lamin)을 함유하고 있으며, 휘발성의 기름을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약효 해열, 소종, 활혈(活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감기, 각혈, 토혈, 혈뇨, 월경불순, 타박상, 종기 등의 적용질환에서 효과를 발휘합니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6g씩 200cc의 물로..
더보기
갯완두: 자연의 건강 지킴이
소개 갯완두는 어린 싹을 주로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꽃이 피기 전에 어린 싹을 2~3cm 길이로 따서 햇볕에 말려 사용됩니다. 말린 것을 그대로 활용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는데,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사용부위 어린 싹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기 전에 어린 싹을 2~3cm 길이로 따서 햇볕에 말린 후, 말린 것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성분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약효 한방에서는 청해표사, 분리습열, 통락, 제독, 익기 등의 효능이 있다고 전해집니다. 주로 감기로 인한 열, 살갗에 물집이 돋고 몸이 붓는 증세, 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가슴속이 갑갑한 증세, 근육에 경련을 일으키는 증세, 뼈마디가 쑤시고..
더보기
개사철쑥: 건강에 기여하는 산야초
소개 개사철쑥은 여름에 만개하는 꽃,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분을 약재로 활용하는 산야초입니다. 이 식물은 다양한 성분인 디메틸 다프네틴과 스티그마스테롤 등 쿠마린류를 함유하고 있어 해열과 이담(肝膽)에 도움을 주며, 뜨거운 피를 식혀 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사용부위 해당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분을 약재로 활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여름철 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수확하고, 그늘에서 천천히 말려 쓰기 전에 잘게 갈아줍니다. 성분 디메틸 다프네틴과 스티그마스테롤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약효 해열 효과와 이담(肝膽)에 도움을 주며, 뜨거운 피를 식혀 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감기, 결핵성 열, 학질 등 다양한 열 질환의 치료에 활용됩니다. 담낭염, 담도염, 황달, 간염, 코피..
더보기
개갓냉이: 몸에 좋은 산야초
한채, 야개채(野芥菜), 산개채(山芥菜), 날미채(辣米菜)로 불리며, 꽃을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며, 쓰기 전에는 잘게 썬다. 성분 매운 맛이 나는데, 세부적인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약효 해열, 진해, 해독, 이뇨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의 순환을 돕습니다. 감기, 기침, 기관지염, 인후염, 간염, 황달, 각기 등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습니다.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상이나 살갗에 물집이 돋는 경우(수종)에도 사용됩니다. 외과 질환으로는 타박상이나 피부 지방분비선이나 땀구멍으로 인한 화농균이 침입하여 생겨난 부스럼 등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6~10g씩 200cc의 물로 달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