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란: 폐 보호와 지혈, 수렴 효과
자란은 식물의 가덩이줄기를 약재로 활용하는데, 주로 가을에 수확하고 잔뿌리와 잎을 정돈한 후 세척하고 햇볕에 말립니다. 이 식물은 폐를 강화하고 지혈 및 수렴 효과를 제공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채취와 조제 가을에 수확하며 잔뿌리와 잎을 제거한 후 세척하고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잘게 썬 뒤 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립니다. 약용 자란은 폐를 보호하고 지혈, 수렴 효과를 제공합니다. 주요 적용 질환으로 폐의 농양(고름이 모인 상태), 내출혈, 토혈, 피내용의 병, 외상으로 인한 출혈, 악성 종기, 피부 궤양, 습진 등이 있습니다. 용법 내과적인 질환에 대한 치료로 말린 약재를 1회에 1~3g씩 200cc의 물로 달여 복용합니다. 악성 종기, 피부 궤양, 습진과 같은 외과 질환에는 말린 약재를..
더보기
자귀풀: 이뇨, 해열, 해독, 소종에 효과적
자귀풀은 잎, 줄기, 뿌리의 전체를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수확되며 햇볕에 말립니다. 이 물음은 이뇨, 해열, 해독, 소종 효과로 유명하며 다양한 질환에 사용됩니다. 채취와 조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수확하며 햇볕에 말리거나 생풀을 쓰기도 합니다. 말린 것은 쓰기 전에 잘게 다듭니다. 약용 자귀풀은 이뇨, 해열, 해독, 소종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적용 질환으로는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감기로 인한 신열, 간염, 황달, 위염, 임질, 배가 부푸는 증세, 악성종기, 습진 등이 있습니다. 용법 악성종기와 습진에 대해서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말린 약재를 달여 환부를 닦아냅니다. 다른 질환의 경우에는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에 천천히 달여 ..
더보기
익모초: 여성 건강과 생리 조절을 위한 자연의 선물
익모초는 잎과 줄기를 모두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주로 여름철에 수확되고 햇볕에 말립니다. 이 식물은 레오누린(Leonurin)과 지방유,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어 여성 건강과 생리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채취와 조제 여름에 수확되며, 말린 후 잘게 다듬어 사용합니다. 때로는 생풀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약용 익모초는 주로 자궁 수축, 월경 조절 및 혈액 흐름 개선에 사용됩니다. 주요 적용 질환에는 월경불순, 산후에 오로가 내려오지 않는 증세, 산후 어혈로 인한 복통, 월경통, 계속되는 월경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급성신염, 혈뇨, 식욕부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에도 사용됩니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10g씩 200cc의 물에 끓여 복용하거나 가루로 분쇄하여 복용합니다. 때로는 생즙을 내어..
더보기
이삭여뀌: 풍습, 통증, 및 피부염 치료를 위한 자연의 선물
이삭여뀌(Tovara neo-filiformis NAKAI)는 풀 전체를 활용하는 약초로, 새이삭여뀌와 함께 사용됩니다. 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수확되며 햇볕에 말려 사용됩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풍습을 제거하고 통증 및 피부염 치료를 위한데 사용됩니다. 채취와 조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수확한 후 햇볕에 말립니다. 사용하기 전에는 미리 잘게 다듬어 사용합니다. 약용 이삭여뀌는 풍습(습기로 인해 뼈와 관절이 아픈 상태)을 완화하고 멍든 피를 풀며 진통, 지혈 및 종기의 해소를 돕습니다. 주로 풍습에 기인한 통증, 요통, 관절통, 타박상, 소화 불량, 월경통, 산후 복통, 각혈, 코피, 혈변, 피부염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용법 내과적인 질환의 경우, 말린 약재를 1회에 4~6g씩 200..
더보기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 자연의 진통제와 평온의 신비한 출처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은 덩이줄기를 주된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특히 한반도와 중국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이들의 덩이줄기는 오랜 전통에서부터 진통 및 진정 효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채취와 조제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의 덩이줄기는 5~6월에 수확됩니다. 수확한 덩이줄기는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립니다. 일부 사람들은 덩이줄기를 잘게 썰거나 식초에 적셔 볶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요 성분 이들 식물의 덩이줄기는 프로토핀(Protopin), 코리달린(Corydalin), 게누이닌(Genuinin) 등의 염기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약용 이들 식물은 진통, 진정, 진경(경련을 가라앉힘), 자궁수축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 순환을 돕고 멍든 피를 풀어주는 역할을..
더보기
약난초 (Agrimonia pilosa): 몸에 좋은 산야초의 효능
약난초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식물로, 주로 가덩이줄기를 약재로 활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약난초의 사용법, 주요 성분, 그리고 이의 효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용부위 가덩이줄기: 약난초에서 사용되는 부분으로, 주로 잎, 꽃대, 잔뿌리 등을 활용합니다. 채취와 조제 채취 시기: 6월에서 7월에 채취합니다. 조제 과정: 가덩이줄기를 채취한 뒤, 잎, 꽃대, 잔뿌리를 따버린 후 햇볕에 말린 다음 쓰기 전에 잘게 썹니다. 성분 점액 및 녹말: 가덩이줄기에는 다량의 점액과 녹말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성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약효 진해 및 해독 효과: 약난초는 진해 및 해독 효과를 갖고 있어 인후염, 임파선종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소종 치료: 소종을 다스리기 위해 활용..
더보기
수염가래꽃 (Indian Tobacco Flower): 천연 치료제로서의 수염가래꽃
수염가래꽃은 꽃을 비롯해 잎과 줄기의 모든 부분을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약재 활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알아봅시다. 1. 채취와 조제 수염가래꽃은 꽃이 필 무렵에 채취되어 그대로 햇볕에 말려 사용됩니다. 때로는 신선한 상태로 사용되기도 하며, 사용하기 전에는 적절한 크기로 잘게 써야 합니다. 2. 주요 성분 수염가래꽃의 몸집 속에는 에스-로벨린(S-Lobelin)이라는 염기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성분은 호흡 촉진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3. 약효 수염가래꽃은 이뇨, 소염, 소종, 해독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집니다. 주요 적용 질환은 신장염부터 간염, 간경화로 인한 복수(텹수), 황달, 천식, 간암, 위암, 직장암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종기를 가시게 하고 해독 작용을 통해 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