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은 덩이줄기를 주된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로, 특히 한반도와 중국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이들의 덩이줄기는 오랜 전통에서부터 진통 및 진정 효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채취와 조제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의 덩이줄기는 5~6월에 수확됩니다.
수확한 덩이줄기는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립니다.
일부 사람들은 덩이줄기를 잘게 썰거나 식초에 적셔 볶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요 성분
이들 식물의 덩이줄기는 프로토핀(Protopin), 코리달린(Corydalin), 게누이닌(Genuinin) 등의 염기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약용
이들 식물은 진통, 진정, 진경(경련을 가라앉힘), 자궁수축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 순환을 돕고 멍든 피를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가슴과 배의 통증을 완화하고, 여성의 월경통, 월경불순, 산후 어혈로 인한 복통, 산후 출혈로 인한 정신 혼미, 허리와 무릎의 통증, 타박상으로 인한 멍든 증세를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용법
1회에 2~4g의 약재를 200cc의 물에 달아 복용하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합니다.
결론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빗살현호색은 오랜 전통에서부터 진통 및 진정 효과로 사용되어온 식물 중 하나입니다.
이들은 다양한 통증 및 여성 건강 문제를 다스리기 위한 강력한 약재로 활용되어왔으며, 현대 의학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음식_ 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담: 소화와 건강을 지키는 산야초의 힘 (67) | 2023.11.08 |
---|---|
이삭여뀌: 풍습, 통증, 및 피부염 치료를 위한 자연의 선물 (67) | 2023.11.07 |
왕승마 (Cimicifuga dahurica) - 자연의 치료수 (74) | 2023.11.05 |
왕바랭이 (Eupatorium japonicum) - 자연에서의 건강 지킴이 (69) | 2023.11.04 |
여뀌바늘 (Prunella vulgaris) - 건강을 위한 자연의 선물 (86)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