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박새는 주로 뿌리줄기와 뿌리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이때 다양한 종류의 박새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흰여로, 여로, 참여로, 파란여로, 큰박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박새를 채취할 때는 꽃대가 자라나기 전에 수확하며, 햇볕에 말린 후 사용하기 전에 잘게 썰어야 합니다.
성분
박새는 독성이 강한 식물으로, 뿌리줄기와 뿌리에 제르빈(Jervin), 루비제르빈(Rubijervin), 프세우도제르빈(Pseudojervin), 프로토베라트린(Protoveratrin), 베라트린(Veratrin) 등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약효
박새는 다음과 같은 주요 효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최토(催吐): 구토를 유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살충: 해충을 퇴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적용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가래가 목구멍에 막히는 증세
- 간질병
- 오래된 학질
- 황달
- 이질
- 악성 종양
- 옴
용법
말린 박새 약재를 1회에 과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피부 질환의 경우, 가루로 빻은 것을 기름에 섞어 환부에 바를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박새는 강한 독성을 가진 식물이므로 꼭 전문가의 지도 아래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과용은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권장 용량을 지켜야 합니다.
또한, 박새를 사용할 때는 부작용을 주의해야 하며, 사용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자연의 힘과 조심스러움
박새는 자연의 힘을 활용한 전통적인 약초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 강력한 독성으로 인해 조심스러운 사용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박새의 효능을 최대한 발휘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음식_ 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하 (Pinellia ternata) - 한의학에서의 다양한 의약용适应症 (70) | 2023.09.23 |
---|---|
박하 (Peppermint) - 천연의 상쾌함을 담은 약재 (65) | 2023.09.22 |
바위솔 (Orostachys malacophyllus FISCH.) - 자연의 보물, 생태계의 조화 (64) | 2023.09.20 |
바위손 (Polygonum aviculare) - 자연의 고고학적 보고서 (71) | 2023.09.19 |
물달개비 (水蛇草) - 약용 식물의 민간 의학적 활용 (76) | 2023.09.17 |